연봉 5000 실수령액 세금떼고 딱이만큼
연말이 다가오네요. 2017년도 이러한식으로 벌써 지나가게 되었는데요. 2018년이 이젠 한달남짓 남은듯하군요. 아마도 직장인분들이라면 이젠곧 신규로 연봉협상을 해보시게될 거에요. 늘 연초에 연봉협상을 신규로 하게 되어지죠.
오늘은 연봉 5000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겁니다. 연 5000이면 정말큼 금액입니다. 일반 회사에서 연봉 5000을 달성하려면 과장급 이상이 되어야 가능할 텐데요. 역시 대기업의 경우라면 대리급에서도 가능한 금액이기도 하죠.
이번엔 상세하게 연봉 5000에 관련된 실제 수령액이 얼마나 되어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시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오늘 이용해보고자할 계산기는 사람인에서 제공하고 있는 계산기입니다. 그러니 방문해 주신 분들도 완전하게 인적공제부분까지 입력 하셔서 해보고 싶으시다면 사람인으로 서치를 해보신 후에 아래에 있는 <글자수세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우측의 계산기들중에서도 <연봉계산기>를 눌러보게 되어지면 연봉을 계산해보시는 화면이 나와집니다. 연봉이 오른만큼 소득세와 보험료도 아주 올라가게 되어집니다.
인적공제에 따라서 금액차이가 아주 달리 돼요. 그렇다보니 같은 연봉이어도 부양가족에 따라서 달리 돼요. 우선 4인가족이라고 하고 20세 이하 자녀가 2명이라고 선택해놓고 계산을 해드려 볼 거에요.
이러한 방법으로 계산을 해보니 연봉 5000이라면, 국민연금이 18만원, 건강보험이 12만원, 또한 소득세가 8만원이 나올게 되실건데요 그외에 세금이나 보험료까지 하게 되어지면 약 43만원 가량이 빠져나가고 알아보고 나니 373만원 가량 받아 볼수가 있게 됩니다.
인적공제를 해서 저정도인데 부양가지고이 없다면 약 358만원 가량 되어지게 되는데요. 15만원 정도 차이가 나기도 한데요. 위에는 연봉 5000 실수령액의 전후의 연봉에 관련 되어진 테이블이에요. 실제 얼마를 받으시는지 알아보았는데 참고가 되셨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