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간에는 자녀 상속세 면제한도에 대하여 한번 알아봤는데요. 상속세와 비스므리한 세금이 또 있어요. 바로 증여세입니다. 이둘의 차이점은 확실히 있답니다.
상속세는 사후에 재산을 물려주게 되는것이고, 증여세는 살아계신경우 무료로 자녀나 아내에게 재산을 물려주실때 부과되는 세금인데요. 증여세도 면제 범위가 있지만 상속 면제한도도 따로 있죠. 자녀 상속세 면제한도는 일괄 공제금액 최대 5억까지 가능하며, 어머니가 살아계신경우 어머니앞으로 재산을 상속하지 않으실 경우 아내 공제로 인해 5억이 추가로 공제가 되어지는데요. 결과적으로 5억에서 10억 정도의 금액이 공제가 되어지는거에요.
그이후 자녀당, 와이프, 미년년 공제등으로 추가 상속세 공제가 되어져요. 상속세 공제를 받으실수 있는 계산기를 한번 설명해드려보도록 해보려 하는데요. 상속세가 10억 이상일 경우 그 금액에 따라 다시 공제가 되어지는거에요.
이런 방법으로 가족관계 별로 상속세 공제 금액이 계산이 되어 지는데요. 자녀상속세 면제한도 금액과 가족별 공제 금액을 합하게 된다면 상당한 큰 금액이 아니고서는 자녀 상속세 면제한도 범위 내에선 큰 세금 부담감 없이 해결이 되어질것 같아 보이더라구요^^